혹시 밤나무 묘목을 기르고 계신분 있으신가요!?
원인모를 병때문에 고민이신가요!
오늘은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방제와 예방 그리고 치료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밤나무줄기마름병에 대하여
기주 : 밤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피해 Cryphonectria parasitica에 의한 밤나무줄기마름병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병해로 느릅나무 시들음병, 잣나무 털녹병과 함께 세계 3대 수 목병으로 분류되고 있는 무서운 병해라고 합니다.
밤나무줄기마름병은 1904년 뉴욕의 브롱크스에 있는 뉴욕동물원에서 처음 발견된 후 급속히 전파되어 1940년까 지 캐나다 남쪽으로부터 멕시코만에 이르는 미국 동부지역의 미국밤나무 숲 을 거의 황폐화시켰으며, 유럽으로 전파되어 많은 피해를 주었습니다. (개략적인 병해의 업적 나열..)
한국에서 밤나무줄기마름병은 1925년에 최초로 보고되었으나 병원균의 분포, 생리, 생 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며, 관리부족과 밤나무의 노령화로 밤나무가 고사되는 현상이 증가하여 수확량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 무서운 사실은 밤나무줄기마 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곰팡이인 C. parasitica는 밤나무뿐만 아니라 참나무, 단풍나무 등 다른 나무도 가해하며, 아시아, 북미, 유럽에도 분포하고 있습니다.
줄기마름병은 동고병이라고도 하며, 줄기나 가지에 심하게 발병하면 표피가 썩거나 궤양을 일으켜 나무전체를 말라죽게 합니다. 이 병원곰팡이는 밤나무의 각종 상처(곤충, 짐승, 기계적 상처, 접목부위. 일소, 동해 등)를 통해 감염되 고 빗방울, 바람, 곤충, 새 등에 의해서 전파됩니다.
밤나무줄기마름병의 발생 은 입지조건, 기후, 생육상황, 경영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토심이 깊 고, 비옥하고, 배수가 좋은 환경, 또한 관리가 잘 된 곳에서는 밤나무 생장 이 좋고, 저항력이 강해 병도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병징 및 표징
밤나무에 나타나는 주된 병징은 껍질부위의 궤양과 잎의 시들음 증상이며, 병환부에는 적황색 또는 등황색을 띤 무성세대의 분생포자각과 유성세대의 자낭각이 형성됩니다.
초기에는 발병부위의 표피에 불규칙적인 병반이 형성되 며, 약간 부풀어 오르고, 갈라진 수피를 벗겨보면 목질부에 약간 두툼한 균 사가 부채꼴모양으로 퍼져 있습니다.
병원균은 죽은 나무나 병든 나무에서 다년 생의 균사체와 자좌로서 월동하고, 계속 포자를 형성합니다.
어린 나무는 주로 접목부위나 줄기 밑 부위에 발병하며, 큰 나무는 주로 줄기에 발병하는데 병반이 줄기나 가지 주위를 한바퀴 감싸면 전체 가지는 말라 죽습니다.
또한 줄기마름병에 감염된 밤나무 궤양아래에서 맹아가 나오지만 이 가지는 다시 감염되어 말라죽습니다.
병원균
Cryphonectria parasitica 병원균은 자낭균에 속하며, 발병력이 강하고, 수피상에 분생포자각과 자낭 각을 형성하고 그 안에 들어있는 분생포자와 자낭포자를 방출하여 전염합니다.
-> 요약하자면 나무껍질 사이로 들어가 발병한다는 말입니다.
줄기마름병원균의 자좌는 밤나무 줄기 수피 밑에 형성되어 수피의 갈라진 틈으로 돌출되고 자좌의 크기는 1~2.5×1.5~2㎜정도. 자좌의 밑에는 목이 긴 플라스크 모양을 한 자낭각이 형성되며, 자낭의 크기는 36~54×5~8.5㎛ 입니다.
줄기마름병의 생활환
밤나무줄기마름병의 병원균 형태는 유성세대인 자낭포자는 4월 중순부터 9월 초순까지 관찰되며, 무성세대인 분생포자는 연중 관찰됩니다.
또한 6월 말 경부터 장마가 끝난 후 밤나무줄기에서 돼지꼬리 모양의 포자각(spore horn) 이 많이 관찰되며, 줄기마름병에 감염되어 균열된 수피를 벗겨보면 황색과 오렌지색의 균사가 많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방제방법
밤나무줄기마름병을 방제할 유용할 약제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지만,
예 방법으로 전지, 전정 등 관리를 철저히 하고, 비배관리를 하여 저항력을 높이는 것이 줄기마름병을 방제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상처가 난 부위나 병 발생이 많은 접목부위에는 도포제를 발라 보호하고, 백색페인트를 줄기에 칠하여 일소나 동해 등의 피해를 예방해야 합니다. 병든 가지나 줄기는 철저히 제거하거나, 소각하여 병원균의 침입원을 감소시켜야 하며, 질소질 비료 의 과용은 피해야 합니다.
이상 밤나무줄기마름병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공관련 > 나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류 가지끝마름병의 예방과 치료 (4) | 2021.07.05 |
---|---|
소나무류에 생기는 병의 치료와 방제 ;소나무류 잎떨림병 (0) | 2021.06.27 |
배나무와 사과나무에 걸리는 병; 향나무 녹병(적성병) (0) | 2021.06.19 |
벚나무가지가 가늘어지는 증상; 벚나무 빗자루병의 방제와 치료 (4) | 2021.06.16 |
호두나무에 걸리는 병; 호두나무탄저병의 증상과 방제 (0) | 2021.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