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관련/나무 정보 / / 2021. 6. 19. 01:20

배나무와 사과나무에 걸리는 병; 향나무 녹병(적성병)

오늘 포스팅은 이제 한창 병충해 피해를 걱정하고 계시는 분들과 피해 방지를 위해 방제를 서두르고 계실분들을 위한 글이 되겠습니다.

좌, 녹포자퇴 / 우, 배나무의 피해상황

 

** 배, 사과 등의 과일의 상품성과 생산량을 상당히 저하시키기 때문에 재배 농가에서는 붉은별무늬병(적성병)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 기주(겨울포자세대) : 향나무류, 노간주나무

※ 기주 예 : 배나무, 사과, 모과나무, 명자꽃, 산사나무, 산당화, 야광나무, 윤노리나무 등(이상 모두 장미과 수목) 등.

 

 


 

피해

 

향나무녹병균에 감염된 배, 사과, 꽃사과, 명자꽃, 산당화, 산사나무, 야광나무, 모과나무, 윤노리나무, 팥배나무, 야광나무 등 장미과 수목의 잎 앞면에는 붉은 반점잎의 뒷면 에는 흰색의 털모양 녹포자퇴가 다량으로 형성되므로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며, 아울러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지므로 조경수목으로서의 미관적 가치가 크게 손상됩니다.

 

일반적으로 향나무류에서는 나무가 죽는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G. japouicum에 의한 병은 병원균의 겨울포자퇴가 가지 및 줄기에 침입하며 수년간 계속하여 피해를 받으면 나무전체가 말라죽는다고 합니다.

 

 

 

병징 ․ 표징 

 

Gymnosporangium속 균은 다른 녹병균과는 다르게 여름포자세대가 없으며, 녹포자세대와 겨울포자세대로 연결됩니다.

 

4월 초순에 향나무의 잎, 가지 및 줄기에 짙은 갈색의 돌기(겨울포자퇴)가 형성되며, 비가 와서 물기를 흡 수하면 노란색~옅은 갈색의 한천 모양으로 부풉니다. 이때 겨울포자는 발아하 여 전균사를 내고 담자포자를 형성하여 빗물이나 바람 등에 의하여 장미과 식물로 옮겨갑니다.

 

6~7월 장미과 식물의 잎과 열매 등에 노란색 작은 반점이 다수 나타나고 그 중앙에 검은색 점(녹병정자기)이 형성됩니다. 곧이어 잎 뒷 면에는 회색~옅은 갈색의 털 같은 돌기(녹포자퇴)가 형성되는데 이 안에서 녹포자가 형성됩니다. 이 녹포자는 다시 향나무로 날아가서 향나무 잎, 가지 및 줄기의 조직내부에 침입 후 균사로 월동합니다.

 

 

특징

 

향나무로부터의 담자포자 유효 전반거리는 1.6km 정도인데, 배나무가 가까이 있을수록 감염률이 높습니다. 

 

녹병정자기는 병반 내에 군집하여 표피조직 밑에 형성되는데, 그 안에서 생긴 녹병정자는 바람, 공춘 등에 의해 다른 녹병정자기로 옮겨져 서로 수정되어 잎 뒷면의 두꺼워진 갈색 병반 위에 녹포자기를 형성하고, 그 안에 녹포자를 만듭니다.

 

**위 녹포자는 배나무에서 증식한 후 가을에 바람에 날려 향나무에 옮겨가 기생하고 균사상태로 조직속에서 자라며 1~2년 후에 겨울포자퇴를 잎과 줄기의 조직 밑에 형성합니다. 

 

 

 

 

 

향나무의 종류에 따른 감염 사진

녹병이 퍼진 눈향나무
눈향나무

 

좌측부터 1,2 노간주나무,  3겨울포자

 

 

 

좌, 모과나무피해 / 우, 아그배나무(녹병정자기)

 

 

좌, 녹병정자기 / 중,튓면 : 녹포자퇴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