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관련/산림 정보 / / 2021. 6. 23. 00:40

내 산을 가꾸기 위한, 경영하기위한 방법; 숲가꾸기의 장단점

안녕하세요~! 우리 포스팅을 통해 많은 정보 공유해보아요!

 

오늘의 글은 '내산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지원사업 대상자

  • 숲가꾸기를 하고자 하는 산림소유자

지원대상 세부 사업

  • 풀베기, 덩굴제거,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가지치기, 선목, 천연림 보육·개량, 산물수집 등

지원사업비 용도

  • 숲가꾸기 사업의 설계 및 감리에 소요되는 사업비
  • 숲가꾸기 사업 실행에 소요되는 인건비 등 사업비
  • 숲가꾸기 산물수집에 소요되는 인건비 등 사업비

지원사업비 범위

  • 총 소요되는 사업비의 100%(국비 50%, 지방비 50%)

지원사업 신청

  • 산림소유자가 숲가꾸기 보조사업 신청서를 작성하여 산림소재지 시·군·구청의 산림담당부서에 제출.(사업전년도 2월말까지)
  • 기타 세부적인 사업신청 및 사업실행 절차 등 안내는 사업을 주관하는 산림소재지 시·군·구청의 산림담당부서에 연락하시어 자세한 안내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숲가꾸기란?

 - 인공조림지나 천연림이 건강하고 우량하게 자랄 수 있도록 숲을 가꾸고 키우는 사업으로 숲의 연령과 상태에 따라

   가지치기,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천연림가꾸기 등과 같은 작업이 있습니다.

 

 

왜 숲가꾸기를 해야하는가?

 

국가별 산림축적. 국가면적을 고려하여야 함.

 - 우리 숲은 1970~80년대 치산녹화사업으로 녹화에는 성공하였으나, 2015년 기준 산림의 양은 148㎥으로 산림 선진국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 그만큼 생물다양성이 적다는 말이며 즉, 자원의 양에서 차이가 있다는 말이라 생각됩니다.

 

 - 산림은 성장과정에 따라 어린나무가꾸기, 가지치기, 솎아베기 등의 단계적인 숲가꾸기 작업을 통해 자원으로서 가치가 증진됩니다. -> 질 좋고 우량한 목재가 생산가능해진다는 말입니다.

 

 - 그러나, 가꾸어 주어야 할 시기를 놓치거나 가꾸어 주지 않으면 산불, 병해충,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취약해지고 값어치가 적은 쓸모없는 숲이 되어 버립니다.

 

* 우리 산림은 나무 나이 40년생 이하가 71%를 차지하여 숲가꾸기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입니다.

 - 산림의 경제적·환경적 가치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숲의 성장과정에 따라 적절한 숲가꾸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숲가꾸기의 효과

 

1. 산림의 생태적 건강성이 향상된다고 합니다.

 

 - 숲가꾸기 사업은 숲의 바닥에 도달하는 햇빛의 양을 증가시켜 키 작은 나무와 풀 등 다양한 식물이 살 수 있는 여건을 만듭니다. -> 하층식생의 생장을 돕거니와 산채류, 산약초, 임산물 등을 식재할 시 나무사이 공간을 확보해주어 햇빛 공급이 가능해짐

 

 - 숲가꾸기를 통해 산림이 울창해 지면 꿩, 노루 등 야생동물의 서식환경이 개선되어 개체수가 늘어나고 더 풍요로운 숲이 됩니다.

2. 산림의 경제적 가치가 증진됩니다.

 - 숲을 가꾸어 주지 않을 경우 나무들 간에 가지의 뻗음 경쟁이 치열해져 직경생장은 거의 못하게 됩니다.

 - 숲가꾸기를 하면 나무의 직경 생장이 3배 이상 증가하고 옹이가 없는 고급 목재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3. 잘 가꾸어진 숲은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향상됩니다.

 

 - 숲을 가꾸어 주면 가꾸지 않을 때보다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증가합니다.

 

 -우리나라 소나무 30년생 숲 1㏊는 평균적으로 10.8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이는 자동차 4.5대가 연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비슷합니다.

 

 

  • 잘 가꾸어진 숲은 수원함양(녹색댐) 기능이 20~30% 증진되고, 홍수조절·갈수완화·수질정화 기능이 향상됩니다.

 

 

4. 산사태 등 수해를 예방합니다.

 - 숲가꾸기를 하면 나무의 직경 생장은 물론 뿌리 발달도 촉진됩니다.

 - 땅 속으로 깊이 잘 뻗어 내려간 나무 뿌리는 주변 토양을 지탱하는 말뚝효과와 그물효과를 발휘하여 흙이 쓸려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합니다.

 

 

 

** 숲가꾸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산물은 자원으로 재활용됩니다.

 - 숲가꾸기로 베어지는 나무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수집하여 산업용재, 축산농가 톱밥, 저소득계층에 대한 사랑의 땔감 지원 등 소중한 자원으로 재활용된다고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