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택, 아파트 수급 및 가격 동향 통계 등

용어 풀이 및 매매가격, 지수 등의 엑셀파일은 포스팅 마지막에 설명과 첨부파일로 따로 올려 놓았습니다.

 

 

 

종합 주택 유형 기준 입니다.

 

 

 

 

전국 주택 매매가격지수입니다.

* 통계표명 : 월간_계절조정_매매가격지수_종합

* 수록기간 : 2003년 11월 ~ 2023년 05월

* 조회기간 : 2003년 11월 ~ 2023년 05월

* 출처 : 한국부동산원 * 자료다운일자 : 2023.07.06 04:30:16

* 단위 : 지수

 

 

 

 

* 통계표명 : 월간_전세가격지수_종합

* 수록기간 : 2003년 11월 ~ 2023년 05월

* 조회기간 : 2003년 11월 ~ 2023년 05월

* 출처 : 한국부동산원

* 자료다운일자 : 2023.07.06 04:30:39

* 단위 : 지수

 

 

 

 

 

 

 

* 통계표명 : 평균매매가격_종합

* 수록기간 : 2012년 01월 ~ 2023년 05월

* 조회기간 : 2012년 12월 ~ 2023년 05월

* 출처 : 한국부동산원

* 자료다운일자 : 2023.07.06 14:04:03

* 단위 : 천원

 

종합주택 평균 매매가격

 

 

 

 

* 통계표명 : 평균전세가격_종합

* 수록기간 : 2012년 01월 ~ 2023년 05월

* 조회기간 : 2012년 12월 ~ 2023년 05월

* 출처 : 한국부동산원

* 자료다운일자 : 2023.07.06 14:06:59

* 단위 : 천원

 

주택평균 전세가격

 

 

 

*평균매매가 대비 평균전세가(전세가율)

 

전세가율

 

 

 


용어 해설입니다.

  • 5분위 평균주택가격주택가격을 가격 순으로 5등분한 5개 분위별 평균 주택 가격
  •  
  • 주택가격 5분위 배율주택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주택가격 하위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며, 고가주택과 저가 주택 간의 가격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
  •  
  • 연소득대비 주택 가격 비율 (PIR:Price to Income Ratio)연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인 PIR은 주택 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주택가격을 가구당 연소득으로 나눈 배수이며,몇 년치 소득을 저축해야만 대출을 받지 않고 자력으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음
  •  
  • 주택구매력지수(HAI:Housing Affordability Index)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정도의 주택을 구입한다고 가정할 때,현재의 소득으로 대출 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HAI가 100보다 크면 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중간가격 정도의 주택을 큰 무리 없이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HAI가 상승하면 주택구매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냄
  •  
  • 중위주택가격중위가격은 중앙가격이라고도 하며 주택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중앙에 위치하는가격을의미
  • 단독주택원칙적으로 1가구만이 단독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건축된 독립주택
  •  
  • 다가구주택다세대주택처럼 여러 세대가 독립적으로 거주할 수 있으나 현행법상 세대구분 등기가 불가능한 일종의 단독주택
  •  
  • 다세대주택1동당 건물면적이 660제곱미터 이하이며 2세대 이상 거주할 수있는 주택으로 보통 지하1층, 지상3층 이하로 되어 있고 지하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으며, 다가구주택과 다른 점은 구분등기가 가능
  •  
  • 연립주택대지,복도,계단 및 설비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하나의 건축물 안에 각 가구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4층 이하의 공동주택
  •  
  • 아파트5개 층 이상의 공동주택

평균전세가격_종합.xlsx
0.04MB
평균매매가격_종합.xlsx
0.04MB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