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
빗자루병 (天狗巢病, Witches' broom)
이 병의 전염은 접목전염과 마름무늬매미충(모무늬매미충) 등에 의해 전염이 된다. 마름무늬매미충은 건전한 나무보다는 이병주에서 발생밀도가 높은 편입니다
- 병징
나무전체에 발생하며 가지는 심하게 분지가 되고 잎이 매우 작아지고 총생하며 황록색의 작은 잎이 밀생하여 마치 빗자루나 새집 모양으로 변하게 됩니다.
발병 첫해에는 나무의 일부분에서만 병증이 나타나지만 그 후 1~ 2년 이내에 전체 나무로 이행되어 나무가 고사합니다
- 발생생태
빗자루병의 특징은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 식물체 조직이 직접 괴사되지 않고 수체의 물질대사 과정을 교란시킴으로써 생리적인 균형을 파괴한다는 점입니다. 즉 신초의 정부우세현상이나 눈의 휴면을 교란시키어 당년에 발아 생장하게 함으로써 저장양분의 과다소모로 동해를 받아 고사하게 하는 것입니다.
- 방제
재배적 방제 이 병은 접목전염과 매개곤충에 의하여 전염하기 때문에 두가지 전염경로를 차단하면 효율적으로 빗자루병의 확산을 막을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개원시 무병 묘목을 재식하여 빗자루병의 감염을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약제 방제 이미 발생된 이병주의 치료는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의 수관주입법으로 완전한 치료는 어려 우나 2~ 4년 동안 병징을 억제시킬 수 있습니다.
*주입시기는 수액의 이동이 활발한 4~5월 및 7~8월에 두 번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개층 마름 무늬매미층을 방제하기 위해 적당한 살충제를 하절기에 3~4회 정도 살포합니다.
탄저병 (炭疽病, Anthracnose)
대추재배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병으로 많이 발생하는 해에는 흉작을 가져 오는 병이다. 이병은 고온다습 시 발생이 심하므로 장마가 끝난 후 3~4회 정도 약제 살포를 하는 것이 방제요결이다.
병징
과실과 잎에 발생합니다. 과실에는 적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점차 진행됨에 따라 중앙이 함몰되며 담홍색의 포자퇴가 누출 됩니다. 심하면 과실 전체가 쭈글어들게됩니다. 이 병의 증상은 과실 전체가 연화되어 썩으며 쓴맛이 납니다.
발생생태
병자각 및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여 전염원이 됩니다. 분생포자는 강우가 많은 7~ 8월에 빗물에 의하여 전염되며 곤충이 나 조류에 의해 전염되기도합니다 . 또 성숙기인 9월 하순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경에 수확이 늦어진 과원에서도 발생이 많습니다.
방제
고온다습한 7~8월에 발생이 많으며 이병과에서 포자가 형성되어 2차 전염이 되므로 이 병은 즉시 제거하여야 합니다. 발병이 심한 과원에서는 봄철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고 장마가 끝난 후부터 9월까지 3~4회 적용약제를 살포하여야 합니다.
녹병 (銹病, Rust)
병징
주로 잎에 발생하며 심하면 엽병에도 발생합니다. 잎의 표면에 갈색의 소형 반점이 형성되며 점차 커지면서 잎 뒷면에 융기된 하포자퇴가 형성되고 심하면 잎 전체가 고사하여 낙엽됩니다.
병에 걸린 잎은 조기낙엽되므로 대추 수확기인 9월 하순~10월 상순에는 잎이 없고 과실만 매달려 있습니다.
잎에는 소형의 병반이 형성되고 심하면 잎이 주황색으로 보이며 9~10월 상순에 낙엽을 초래하여 과실만 달려있게 되므로 품질 이 저하됩니다.
발생생태
주로 비가 많은 7~8월에 발생이 많으며 해에 따라 발병정도가 매우 다릅니다. 전염경로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방제
이병엽을 제거 소각하여야 하고 밀식된 과원에서는 간벌을 실시하여 통광과 통풍이 잘 되도록 합니다.
*약제 방제는 동계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여 과원의 병원균 밀도를 감소시켜야 합니다.
*약제 방제는 장마 후 3회 정도 살포 합니다.
잎마름병 (葉枯病, Leaf blight)
병징
1. 처음에는 잎의 표면에 갈색의 원형 병반이 나타나고
2. 점차 진전됨에 따라 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됩니다.
3. 심하면 병반이 융합되어 잎 전체가 마르고 병반의 중앙에는 갈색의 소립자(병자각)가 밀생합니다.
발생생태
잎이나 엽병의 병반상에서 형성된 병자각으로 월동합니다.
병발생은 여름철의 장마기에 시작하여 가을까지 계속됩니다.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조기낙엽이 되며, 배수가 불량하고 질소질 비료를 과다 시용하는 과원에 발생이 많습니다.
방제
매년 발생되는 상습지에서는 배수가 잘 되도록 하며 질소질 비료의 시용을줄이며 비에 의해 흙이 튀지 않도록 나무의 아래에 부초를 해줍니다.
약제방제는 장마기부터 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균제를 살포합니다.
역병 (疫病, Photophthora frait rot)
병징
과실, 엽병에 발생합니다.
과실에는 처음에 명확하지 않은 적갈색의 반점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과실 전체가 적갈색으로 변합니다. 주로 꼭지부분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발병후 대부분 조기 낙과된다. 심하면 잎줄기 전체가 고사한다.
발생생태
병원균은 토양중에 생존하며 비나 관수한 물에 의해 유주자가 이동하므로 물이 튀어 오르는 부분까지 발생합니다.
따라서 발생은 주로 아래 가지에 있는 과실에서 발생이 많습니다. 발생시기는 7~8월의 장마기.
방제
*물이 병원균의 전염을 일으키며 또 비에 의해 분산되기 때문에 배수가 잘 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지면 부근에 있는 과실이나 엽병에 발생하며 비에 의해 흙이 튀어 올라 묻게 되면 감염되므로 가지의 배치를 높게 하여야 합니다.
줄기썩음병 (胴腐病, Canker)
병징
줄기와 과실에 발생합니다. 줄기에는 처음흑갈색의 병반이나 타나고, 점차 진전되면서, 이 병부위는 건전부위와 뚜렷한 경계를 이룹니다.
오래된 병반부위는 표에 흑색 소립점(병자각)이 밀생합니다.
과실에는 상처 부위나 꼭지부분으로 침입하여 단시일 내에 부패하며 대부분 낙과됩니다.
발생생태
대추나무의 가지와 줄기의 껍질을 썩게하는 병으로 병원균은 주로 상처난 부위를 통하여 침입.
또한 겨울철에 동해를 받으면 동사된 조직 속으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이병반이 가지를 한 바퀴 돌게 되면 병반의 상단부가 고사합니다.
성목의 주간부 또는 4~5년생 이상의 굵은 가지에는 피해가 없거나 있 더라도 경미.
방제
가지썩음병이 만연하는 해는 대개 겨울철 주야간의 기온교차가 커서 밤에는 춥고, 낮에는 비교적 온화하며 가끔씩 강우가 있는 해일 경우가 많습니다.
*병원균은 항상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므로 성목에서는 대추 수확 후 10월 하순경에 톱신 수화제 또는 벤레이트수화제를 가지에 철저히 살포한다.
*유목은 겨울철 동해를 입지 않도록 추운지역에서는 줄기와 가지를 짚으로 감싸주거나 주간부를 흙으로 높게 성토해 주었 다가 3월경 피복물을 제거 한 후 톱신수 화제 등의 약제를 살포합니다.
*4월 상순경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수관전면에 철저히 살포해서 병원균의 증식을 조기에 저지시킨다 . 일단 병이 발생된 피해지는 곧바로 제거하여 소각하고,발아 및 전엽 이후에도 병이 계속 번질 때에는 톱신 수화제 또는 벤러이트수화제 등을 7~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포합니다.
※ 다음 포스팅에서는 충해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전공관련 > 나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 감나무의 종류와 재배 육묘 기르는방법 (0) | 2022.07.30 |
---|---|
대추나무 병해충 벌레 퇴치법, 예방 (1) | 2022.07.26 |
대추나무 시비 관리 비료주기 (0) | 2022.07.21 |
대추나무 재배기술 심는방법 (0) | 2022.07.15 |
묘지,산소에 심는 편백・화백나무 가지마름병 (0)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