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펜데믹 상황에서 많은 분들이 반려나무를 키우기 시작했습니다.
반려동물처럼 살아 움직이며 감정을 교류하는 생물체가 아니므로 관리하고 기르는데 있어 훨씬 수월한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려식물 또한 동물들과 같이 정성으로 기르면 더욱 활력있게 자라지 않을까요?
움직임이 자유로운 동물들보다는 관리의 강도가 낮을 지언정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대상이 바로 식물 입니다.
현 포스팅은 주로 실외에서 길러지는 식물의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라 볼 수있으며, 물론 실내의 식물에도 모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
- 줄기 병해의 종류와 발달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는 주로 수피(나무껍질)와 형성층 조직 위에 병반(병이 발생하여 반응을 보이는 부분)을 형성하는데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이러한 병반을 궤양(cnaker)이라고 합니다.
특히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는 줄기, 가지, 잔가지에 주로 나타납니다.
궤양은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며, 발달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병원균이 상처를 통화여 나무으로 들어간 후 휴면기 동안 수피를 침입하여 잠식해나갑니다.
2. 나무는 감염된 조직의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상처를 아물게하는 조직)을 형성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억제 시키려 노력합니다.
3. 병원균은 다음 휴면기간 동안 유합조직을 다시 침입합니다.
4. 나무은 새로운 유합조직을 형성합니다.
3번과4번의 과정이 매년 계속적으로 반복되며, 이렇게 형성된 궤양은 병원균의 이동률과 유합조직의 형성량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궤양은 크게 [윤문형 / 확산형 / 궤양마름]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집니다.
-윤문형 궤양 : 궤양 표면과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이 많고 둥근 모양의 궤양이 나타납니다. 또한 궤양 내에서는 병원균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느리고, 대부분의 경우 나무의 부피생장 증가와 궤양의 생장이 비슷합니다.
- 확산형 궤양 : 궤양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이 거의 없고 길쭉한 타원형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병원균의 이동은 윤문형보다 빠르므로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한 나무의 부피 생장보다 빠르게 궤양이 확장되며 감염된 후 몇 년 내에 나무 수피(나무껍질에서부터 수분이 이동하는통로까지) 벗겨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 궤양마름 : 둥글거나 타원형의 궤양을 형성하고 생장기간 동안 급속히 발달되며, 유합조직이 전혀 없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병원균은 급속도로 발달하므로 나뭇가지나 나무 전체가 1~2년 내에 죽기도 합니다.
----------------------------------------
- 줄기 병원균의 생활사
궤양을 유발하는 것은 주로 곰팡이 입니다. 이 병원곰팡이들은 임의 기생체로서 살아있는 나무의 수피나 죽은 가지에서 생장합니다.
*특히 궤양이 잘 발생하는 곳은 상처의 발생부위인데, 상처는 주로 줄기와 그루터기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나무에 상처가 있고 곰팡이가 살기 좋은 환경이 형성되어 있다면 나무껍질을 통해 침입하여 궤양을 형성하게되고
최근에 죽은 나무껍질 위에 자실체(예를들어 버섯)를 형성하게 됩니다.
자실체는 두 종류의 포자를 형성하는데, 이들은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공기전염성포자와 빗물에 의해 근처로 이동하는 누출포자로서 2차 전염원이 되어버립니다.
------------------------------------------
- 줄기 병해의 치료(처치)
줄기병해는 우선적으로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만약 상처를 통해 병해가 발생 되었을 시 방제를 위해서는 감염된 조직을 모두 제거해야만 합니다.
나무를 베내지 않고 줄기나 큰 가지에 생긴 궤양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감염된 부위의 외과적 수술치료가 있습니다.
* 외과적 수술치료 : 감염된 조직을 포함하여 일부 건전한 조직도 제거합니다.
수목의 활력 여부는 줄기 병해의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수세가 약한 수목이나 수분 및 토양양분이 부족한 수목은 일반적으로 상처가 잘 아물지 않아서 병원균의 침입을 저지할 수 없게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염 조직 제거 후, 규칙적인 관수(물주기)와 균형된 시비(거름, 비료 등의 자양분주기)가 필요합니다.
----------------------------------------
나무가 시들고 줄기에 병해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그렇다면 줄기에 생기는 병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각각의 병해는 어떻게 치료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업로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공관련 > 나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 수확 및 관리 (0) | 2021.02.10 |
---|---|
돌배나무와 돌배의 효능 면역력 (0) | 2021.02.04 |
나무 뿌리와 병해에 대한 기본정보 (0) | 2020.10.12 |
감귤 궤양병(bacterial canker)의 특징 방제 치료방법 (0) | 2020.10.04 |
보리수나무와 면역력 (0) | 2020.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