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흰가루병(Powdery mildew)
(1) 병징 및 표징
흰가루병의 특징은 흰색을 띄고 심하게 감염되면 밀가루를 뿌린 것처럼 보이는데 단풍나무에서는 잎의 앞,뒷면에 발생하지만 다 자란 잎에서는 잎 뒷 면에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늘에서 자란 나무는 잎 앞뒷면에 모두 발 생하며, 흰색의 정체는 흰가루병원균의 무성세대가 형성하는 분생포자, 분생 포자경, 균사의 집합체인데 주로 분생포자가 무리지어 나타나므로 밀가루를 뿌린 것처럼 보인다.
(2) 흰가루병의 병원균 : Sawadaea polyfida
(3) 방제방법
흰가루병의 방제법은 산지에서 적용하기는 힘들지만, 병든 낙엽은 모두 모 아서 태움으로써 이듬해의 전염원을 없앨 수 있다.
조경수목에서는 이른 봄 가지치기를 할 때 병든 가지를 모두 제거한다.
ㄱ. 봄에 새순이 나오기 전 - 석회유황합제를 1~2회 살포
ㄴ. 여름 - 만코지 수화제 75%, 지오판 수화 제 70%, 베노밀 수화제 50% 등을 2주 간격으로 살포한다.
나. 타르점무늬병(Tar spot)
(1) 병징 및 표징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은 나무에 큰 피해를 주지 않지만 경관을 나쁘게 하며, 잎에 검은색의 자좌 부위가 녹색으로 남아 있어 지저분한 느낌을 준 다. 이병은 공해에 약한 특징이 있어, 공기오염의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되고 있으며, 도시의 조경수나 정원에서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 병해로 알려져 있다.
처음에는 잎에 황색의 점무늬로 나타나며 여름 이후에 잎에 검은 점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잎의 검은점은 병원균의 자좌이며, 안쪽은 분생포 자각으로 되고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병든 잎은 이듬해 5~6월경 병반 위에 서 자낭반이 형성되고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2) 타르점무늬병의 병원균 : Rhytisma acerinum
(3)방제방법
조경용의 단풍나무에서는 병든 낙엽을 제거하고, 상습발병지에서는 봄비가 온 후 만코제브 수화제 75%를 2~3회 살포한다.
'전공관련 > 나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에 상처났을때 상처 치료방법 (0) | 2023.06.12 |
---|---|
수종별 나무 가지치기 전지 전정 방법 시기 (1) | 2023.06.11 |
명 감나무 물주기 밑거름 웃거름 미생물 비료 주는방법 (0) | 2022.08.02 |
명 감나무의 종류와 재배 육묘 기르는방법 (0) | 2022.07.30 |
대추나무 병해충 벌레 퇴치법, 예방 (1) | 2022.07.26 |